금요일, 4월 28, 2006

마이젯 CLP-600N

혜영이 삼성 칼라 레이저 프린터를 샀다.
그것도 네트웍 지원되는 녀석으로.
마이젯 CLP-600N 을 국전에서 신용카드로 96만원쯤.

일단 토너를 네 개 끼우려고 보니
프린터 안에 노란색 토너 분말이 묻어 있다.
누군가 데모용으로 사용했던 것을 팔은 모양이다.
그래도 할 수 없지...
그날 밤 안에 원고를 인쇄해서 다음 날 제본하고 제출해야 하기 때문에 마음이 급하다.

길건너 킨코에서는 칼라 복사가 한장에 980원인데, 약 500장을 칼라 인쇄해야 한다.

우선 버펄로 에어스테이션 G54와 연결시키고, 같이 따라온 SetIP 라는 프로그램을 피시에서 실행하였다.
프린터의 IP가 자동으로 잡힌 것이 보이고, 이를 네트웍의 다른 컴퓨터들에서 인식하였다.
피시에서는 드라이버를 인식시켜야 하고, 맥에서는 제네릭 프린터로 잘 작동한다.

시험 페이지를 인쇄하였다. 깔끔한 색깔이 나온다.
사진을 인쇄해 보았다. 톤이 마음에 들지 않지만 잉크젯보다는 훨씬 낫다.

일요일, 4월 23, 2006

맥미니의 슈퍼 드라이브



R은 한 번 구우면 땡, RW는 1000번 정도 구웠다 지웠다가 가능하지요. -랑 +는 기술적으로 굽는 법에 대한 차이가 있긴 한데 한 번 구우면 DVD-ROM처럼 대부분의 기기에서 인식하고 읽기 때문에 그다지 크게 신경쓸 필요 없습니다. 그리고 맥미니는 두 종류 모두 소화하기 때문에 그냥 취향대로 쓰면 됩니다.

2배속 드라이브가 4배속 미디어를 쓰면 안된다는 점은 사실입니다. 근데 4배속 이상의 경우 그 이상의 속도의 미디어를 써도 별 문제는 안 됩니다. 미디어 표준이 4배속에서 한 번 갈렸거든요.

기본적으로 맥미니의 슈퍼드라이브는 4배속 굽기 지원이 되는 모델이었습니다. 그러므로미디어를 구매할 때 4배속짜리를 사면 됩니다. 더 높은 배속을 살 수도 있는데 쪼매 더 비쌀 것이기 때문에...

영화 DVD를 그대로 복사하려면 듀얼레이어 지원이 되어야 하죠. 미디어에는 DL이라고 추가 표시가 되어 있죠. DVD+R DL, DVD-R DL이라고 별도로 나옵니다. RW는 아직 듀얼레이어 없습니다. 한편, 맥미니 1.42(1.45가 아닙니다)GHz의 슈퍼드라이브는 듀얼레이어 지원을 안 합니다. 그러므로 영화 복사를 하려면 일반 미디어 크기로 재압축하는 소프트웨어를 거쳐야 합니다.

2006년 초에 나온 인텔 코어듀오 코어싱글 맥미니는 더블레이어를 지원합니다.
Slot-loading SuperDrive with double-layer support (DVD+R DL/DVD±RW/CD-RW): writes DVD+R DL discs at up to 2.4x speed, writes DVD-R and DVD+R discs at up to 8x speed, writes DVD-RW and DVD+RW discs at up to 4x speed, reads DVDs at up to 8x speed, writes CD-R discs at up to 24x speed, writes CD-RW discs at up to 16x speed, reads CDs at up to 24x speed

아이맥 리모콘을 파워포인트 리모콘으로 사용할 수 있는 유티리티가 없을까요?

금요일, 4월 21, 2006

맥에서 윈도우즈를




우연히 eMacintosh weekly 컬럼을 읽다가 부트캠프와 패러랠즈 외에도 G5에서 사용할 수 있는 Q 라는 프로그램이 있다는 것을 알았다.

http://www.kberg.ch/q/documentation/index.html
당장 설치를 시작하였다....
혹시 하드디스크 다 잃으면 어떻게 하나...

홈페이지에서 읽어보니 아직 알파 단계라고 하지만

4GB의 하드디스크 공간을 실제 하드디스크처럼 간주하고

작은 x86 머신을 흉내낸다.

당장 윈도우즈 XP 프로페셔널 시디를 넣고 시디롬으로 부팅하니

한시간 반이상 걸렸지만 설치가 진행중이다.

그 다음에는 아래아한글 2002를 설치하고.....

웬지 궁금해진다. 어떻게 될까?

월요일, 4월 17, 2006

주간조선

2006.4.10
명동 젊음의 거리 
-간단한 약도와 먹거리

나무의 몸값이 점점 더 오른다
-온실가스 문제 정리

논술 물리
핵폭탄 제조, 원료확보가 관건

논술 고전
침묵의 봄

화요일, 4월 11, 2006

아직도 엘렉스가 살아 있었다!

Apple Korea
yongslee에게
추가 옵션 4월 10일 (19시간 전)

안녕하세요?
애플컴퓨터코리아입니다.

좋은 지적 감사드립니다.

해당 국가의 웹마스터에 통보하여 곧 수정토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Apple Computer Korea, Ltd.

애플 스토어: 080-3404-622
애플 기술 지원 센터 TEL: 1544-2662

주: 본 메일 주소는 발신 전용이므로 메일을 받을 수 없습니다.

=================

이영식 고객님의 문의 및 의견 사항입니다.

중국 애플 컴퓨터 웹사이트(---.cn)에서 해외 애플 사이트 "한국"을 선택하
면 elex로 링크가 걸려 한국 애플 컴퓨터 사이트를 찾지 못하게 됩니다.

사실 아직도 applecomputer.co.kr, elex.co.kr 등이 섞여서 사용되고 있는
것 같습니다.

아, 저는 왜 이런 사소한 것까지 신경이 쓰이는 걸까요..^^

일요일, 4월 09, 2006

미니를 SE30 케이스에.



어느 일본 사용자가 맥미니를 SE30 케이스에 넣는데 성공했다.
화면은 대만제 그레이스케일 9인치 음극선관을 사용했다고 한다.
왜 우리나라에는 이런 사용자가 없을까....

http://www.kaede.sakura.ne.jp/~kidou/mac/macmini01.html

목요일, 4월 06, 2006

기본사항Re: WINE으로 윈어플 돌리는 것 같은데요...+_+;
다른 포럼에도 올린글 입니다만..... ^^


http://forum.osx86project.org/index...topic=8699&st=0
http://www.javarants.com/B182345397...3301/index.html


드디어 인텔맥을 윈도우즈로 부팅할 수 있게 되었다. 애플 컴퓨터사는 2006.4.5일 부트캠프 베타를 발표하였다. 이 기능은 2006.8월에 발표될 맥 오에스에는 기본적인 기능이 될 것이라고 한다....
이제 인텔맥을 살 이유가 생겼다.

수요일, 3월 29, 2006

아이팟 라디오 겸용 리모트




편리한 유선 리모콘을 사용하여 iPod에서 FM 라디오를 청취하고 모든 기능을 컨트롤해보십시오. 또한 리모콘에 이상적인 짧은 길이의 케이블을 제공하는 이어폰 세트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iPod nano와 동영상 iPod과 호환됩니다.



RDS(Radio Data System)표준을 지원하는 방송을 청취하면 iPod 액정에서 노래 제목/가수 또는 라디오 방송국 정보를 볼 수 있습니다.* iPod Radio Remote은 87.5 ~ 107.9MHz (미국 및 유럽 표준) 및 76 ~ 90MHz (일본 표준)을 지원합니다. 여행 시 다른 표준으로 바꿀 수 있습니다.



그러나 경부고속도로 위 달리는 버스 안에서 라디오 수신 감도는 별로 좋지 않습니다.
혹시 이어폰 선이 안테나 역할을 하는 거일까요?
그렇다면 치렁치렁하게 늘어놓은 이어폰 선이 수신 감도를 올려줄지 모릅니다.

화요일, 3월 28, 2006

아이팟 스킨

나는 껍질씌워 사용하는 것을 싫어한다.
적당히 긁히고 쓰는 것이지 쓰기에 불편할 정도로 물건을 보호하려면 왜 그걸 쓰냐 싶어서이다.
최근 유행하기 시작한 폴리카보네이트 하드케이스.
매킨토시 사탕색깔의 G3 아이맥, 마이티 마우스 재질과 같으리라 생각된다.
내 검정색 핸드폰에도 그 하드케이스 가 없다보니 모든 모서리가 다 웨더링되고 말았다.
언제 매직으로 콕콕 찍어주어야지...

그런데 나의 검정색 아이팟 비디오에 대해서만은 생각이 달라졌다.
한동안 헝겁 주머니에 넣고 다녔지만 좀 불안....

어떤 케이스가 좋아요 하고 용산 터미날 상가 지하에서 물으니,
"스티커 하시다가, 실리콘 하시다가 결국은 가죽 지갑 형태 케이스로 가시더라구요."
하는 대답을 들었다.

과연 그럴까? 하며 과감히 구입한 실리콘 스킨 검정색.



http://www.sumajin.com/

먼지가 묻으니 정말 보기 흉하다.
투명한 실리콘으로 바꾸던가 다시 헝겁 주머니로 돌아가던가 해야겠다.

일요일, 3월 19, 2006

텍스트 인코딩

드림위즈의 개인 홈페이지에서 .htm과 .txt 파일들을 받아서 카페24로 옮길때 아이맥을 사용했다.
카페24의 웹페이지 파일들은 모두

meta http-equiv="Content-Type" content="text/html; charset=utf-8"

의 코드를 사용했고, FTP는 Fetch 4.0.2를 썼다.

ftp.dreamwiz.com에서 automatic/text로 다운받고 raw data로 올렸음에도 불구하고 텍스트 파일마져 읽을 수가 없으니 황당했다.
읽을때는 Korean(MacOS) 와 Unicode(UTF-8)의 차이 때문이었다.

결국 드림위즈의 파일을 피시에서 알ftp로 받아서 다시 같은 프로그램으로 카페24에 올렸다.
매킨토시에서 텍스트 인코딩만 Korean(MacOS)로 바꾸어주면 텍스트 파일을 읽을 수 있었다.
이런 고생을 하고 있을 때, 피시에서는 아무 문제없이 읽을 수 있었고....

3D 로고 만들기

cafe24.com에서 게시물을 올린지 반나절만에 친절한 답신을 받았다.
내 옛날 웹호스팅 파일들을 아직도 가지고 있었다고 한다.
감사, 감사... 하지만 프라이버시는?

이제 본격적인 wizysl.org/ wizysl.net 제작에 들어간다.
제일 처음 필요한 것이 3D 로고와 배너.

일단 3D 로고를 온라인에서 만들어 주는 xara.com 사이트가 있다.
http://www.xara.com/referrer/headmaker_trial.asp



wizysl.org를 치고 색깔과 크기를 고르면 이런 로고가 만들어 진다.

HTML 에디터 sumltron



오에스텐에서 적당한 HTML 에디터를 찾기란 쉽지 않다.
이런 저런 에디터를 시도해 보았지만 가격, 한글처리 문제 등에서 항상 불만족.
BBEdit는 예전 오에스9 시절에는 꽤 날씬했던 것 같은데 이제는 가격도 비싸고 뚱뚱해진 느낌이다.

그러던 중 발견한 스멀톤은 기능 제한 없는 쉐어웨어이고 (가끔씩 클릭을 많이 해주어야 한다^^)
기본적인 에디터에, 정교한 태그 컬러링 옵션, 그리고 간편한 프리뷰 기능이 있다.
결국 이 녀석을 많이 쓰게 된다.



최근에는 유니코드 인코딩(UTF-8)을 쓰고 있지만 예전에는 다양한 한글 인코딩이 사용되곤 했다. 이를 파일 열기와 파일 저장하기에 적용할 수 있다.

월요일, 3월 13, 2006

매킨토시 메모리 구입정보

모든 매킨토시 기종의 메모리 구입 정보

iMac G5 1.9GHz (17")
512 MB nonremovable RAM
Add 533 MHz DDR2 PC2-4200 one slot

http://www.transintl.com/store/category.cfm?Category=2604&RequestTimeOut=500

수요일, 3월 08, 2006

I install FileMaker Pro 7 

금요일, 2월 17, 2006

아래아 한글!

나의 워드프로세서는 아래아 한글이다.



남들은 다 마이크로소프트 워드로 넘어가고 있고 학위논문을 매킨토시용 마소워드 4.0으로 쓰긴 했지만 나는 아래아 한글에 너무 많이 익숙해져 있다. 워낙 변화를 싫어하는 성격이다 보니 한글 97 로 얼마나 오래도록 버텨왔었던가.





2006년에는 맥 오에스X용 아래아 한글이 나온다는 루머가 있지만 워드나 다른 프로그램용 뷰어만 있어도 편리할 듯 하다.

ㄱ. 맥 오에스 X용 아래아 한글 - 얼마? 성능이 과연 비슷할까?
ㄴ. 맥용 프로그램에서 열고 저장할 수 있는 플럭인 - 아무래도 호환성에 문제?
ㄷ. 윈도우즈 에뮬레이터 - 속도? 가격? 오에스를 새로 인스톨해야 하는데 하드공간은?

어느 것이 먼저 나올까....

목요일, 2월 09, 2006

오랜 친구를 만난 기분 NeXT




우연히 넥스트 컴퓨터에 관련된 사이트들을 찾았다.
꼼꼼하게 예전 자료들을 모아 놓은 이들에게 경의를 표한다.
올해에는 넥스트스테이션을 다시 가동시켜 보는 것이 어떨까?
나의 서재에는 아이맥과 넥스트 스테이션, 피시 그리고 VTR과 PVR, 게임기 등이 있을 공간이 필요하다. 돈 많이 벌어야 겠다. sigh.

http://nextcube.com/ 넥스트 큐브
http://www.geocities.com/CapitolHill/4698/ 넥스트 아이콘과 카타로그 스캔
http://simson.net/blog/ 사이몬은 MIT에서 화학을 공부하고, 컬럼비아 대학에서 언론을 공부한뒤, MIT에서 컴퓨터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천재다.

블로거의 이미지 관리- 큰 규모가 좋다.



규모가 큰 이미지 옵션



규모가 작은 이미지 옵션

... 따라서 큰 규모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automator의 사용

소니 u20 디지털 카메라에서 윈도우즈로 사진을 옮기면 날자_일렬번호.jpg 의 형태로 파일이 저장한다.
사진 가져오기 마법사에게 날자에 해당되는 폴더를 만들라고 하면, 그 뒤의 일렬번호는 저절로 붙여진다.
이 파일들을 매킨토시에 놓고, 매킨토시에서 웹페이지를 만들어 보니
피시에서 이 웹페이지를 볼때 파일 이름의 빈칸 때문에 그림을 못 읽어오는 일이 생긴다.

고민하다가 파일 이름의 빈칸을 모두 없애기로 했다.
그런데... 그 많은 파일들을 모두 손으로?
와일드 카드 명령어를 포함하는 텍스트 기반의 명령어들이 그리워지는 순간이었다.

rename 20050101_*.jpg 20050101*.jpg 같은...

그러나 유닉스 커맨드 창을 열 필요없이 오토메이터(홈페이지 http://www.apple.co.kr/macosx/features/automator/)가 있다.
파일을 인식시키고, 그 파일들에게 단순 작업을 시키면 된다.



사용 예 동영상 http://www.apple.com/macosx/theater/automator.html